본문 바로가기
건강

목디스크의 초기증상 및 원인, 초기치료의 중요성

by 종하빠 2023. 6. 11.

목디스크는 목뼈 사이에 있는 추간판이 탈출하여 신경을 압박하는 질환입니다. 목디스크는 흔히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장시간 사용하는 사람에게서 발생합니다. 한마디로 대부분의 현대인들에게 발생할 수 있는 것입니다. 

목디스크의 초기증상

목디스크에 대한 설명처럼 목뼈 사이에 있는 추간판이 튀어나와 신경을 압박하여 일어나는 증상이기 때문에 목디스크의 증상은 신경증상입니다.

대표적인 증상은 목의 통증, 어깨와 팔의 저림, 감각 이상, 근력 저하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 증상보다 더 먼저 나타나는 증상이 있습니다. 그것은 목이 피로하고 목, 어깨라인이 뭉치는 증상입니다. 이 증상이 나타났을 때 치료를 하였다면 목뼈사이에 있는 추간판의 퇴행성 변화를 만들지는 않았을 거고 그것은 재활에서 치료 또는 예후에 더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을 것입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좀 쉬면 괜찮아져서 그냥 지내다가 쉬어도 통증이 나아지지 않을 때 병원을 오는데 그러면 퇴행성변화가 조금은 더 진행된 상태입니다.

 

퇴행성 변화란
재활을 하더라도 조직(뼈,근육,추간판,인대 등)들이 회복될 수 없는 상태
뼈를 제외한 연부조직(근육, 인대, 추간판 등)은 화학적 성분변화로 인해 되돌릴 수 없는 상태
뼈는 형태의 변화로 다시 정상적인 뼈의 형태로 돌아올 수 없는 상태

목디스크의 원인

목디스크의 원인을 알기 위해서 신경을 압박하는 추간판의 구조와 역할을 우선 알아야 합니다.

추간판은 척추와 척추사이에 있는 판이라는 뜻으로 가운데 수분이 많은 수핵이 있고 그 수핵을 여러 겹의 섬유질이 둘러싸고 있습니다. 

추간판의 구조

그래서 이 추간판의 역할은 척추가 받는 압력을 해소해주는 것입니다.

그런데 어떤 이유에서는 이 추간판이 감당해야할 이상의 압력을 받으면서 손상을 당하게 되는 겁니다.

추간판 탈출증 4단계

그러면 위 그림처럼 수핵이 나와서 신경막이나 신경근을 누르면 디스크의 대표적인 증상들이 나타나게 됩니다.

 

그렇다면 이 추간판이 감당할 수 없는 압력은 왜 생기는 걸까요?

그 이유는 안좋은 자세를 장시간 반복적으로 하는 것입니다. 목에서의 안 좋은 자세는 일반인들이 많이 들어본 일자목, 거북목 등을 가리킵니다. 그리고 이 일자목, 거북목이 목에서 나타나는 근골격계질환의 대부분(선천적인 것은 제외하고)을 발생시킵니다. 안 좋은 자세는 추간판에 압력을 증가시키는데 그것은 형태적, 역학적으로 추간판이 받는 압력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시킵니다.

첫 번째 형태적 원인은 일자목이나 거북목에서 목디스크질환이 일어나는 부위는 그 형태의 마지막 추간판부터 나타납니다. 그것은 각 척추뼈사이에 있는 추간판들이 전부 압력을 골고루 받는 게 아니라 가장 밑에 있는 추간판이 많은 압력을 대신 받기 때문입니다.

자세별 머리무게

두 번째 역학적 원인은 위 그림에서와 같이 자세가 무너지면 무게가 계속 늘어나다는 겁니다. 최근 논문에서는 고개를 숙이는 자세를 취하면 머리무게가 25kg 이상이 되기도 한다는 결과가 나오기도 했습니다. 보통의 머리무게는 5kg이고 바른 자세일 때는 거의 역학적 무게는 제로에 수렴합니다.

위의 두가지 원인을 결합해 보면 안 좋은 자세는 한 추간판에 압력을 증가시키는데 그 압력을 증가시키는 무게도 엄청나게 늘어나게 되는 겁니다. 이 상태를 장시간 반복적으로 만들어 온 분들은 초기증상에서 얘기했듯이 목이 뻣뻣해지고 목, 어깨라인이 뭉치는 느낌을 자주 받게 됩니다. 그리고 이 상태를 방치하면 추간판에서 수핵이 나오는 퇴행성변화가 일어나게 되는 겁니다.

그리고 이런 목질환은 목 뒤의 근막들을 굳게 만들면서 두통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또한 머리로 가는 혈관(경동맥, 추골동액)을 압박하여 눈의 피로감이나 안압상승, 귀에서 이명이나 어지러증 등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어떤 질환이든지 초기치료가 중요합니다. 초기치료는 회복율, 치료기간 등에서 훨씬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냅니다. 몸이 보내는 초기증상을 무시하지 마시고 원인을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야 합니다. 그 방법의 가장 좋은 지름길은 병원을 찾아와 진료를 보는 것입니다.